티스토리 뷰

경제 이야기

청년 실업에 대해서

경제나그네 2024. 6. 11. 19:02
반응형

 

청년 실업은 실업의 특별한 경우이며 여기서 청년과는 15세에서 24세의 사람들을 의미합니다.
젊은이는 일반적인 노동력과는 일관되게 달리 일을 구하기가 어렵습니다. 또 그것들은 다른 방법으로 영향을 받습니다. 그들의 실업률은 거의 어디서나 성인의 실업률보다 높고, 나라나 지역에 의해서 크게 다릅니다.

 

배경

세계 인구의 약 17%가 15~24세이고, 그 중 87%가 개발도상국에 살고 있습니다. 유엔에 의해 정의된 연령 범위는 의무 교육이 종료되는 24세까지의 기간을 다루고 있습니다. 이 정의는 실업 통계뿐만 아니라 정책 입안자에 의해 설계된 해결책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논란의 여지가 있습니다.

 


이러한 통계와 관련하여 두 가지 중요한 주의사항이 있습니다.

첫 번째는 청년의 개념은 사회적으로 구축된 것이며 국가마다 다르다는 것입니다. 유럽 대부분의 나라에서 젊은 성인은 부모와 더 오래 살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한국과 같은 다른 나라에서는 남성의 병역이 의무화되어 있습니다.

둘째, 실업의 정의가 다른 것은 실업 중인 젊은이들의 비교할 수 없는 설명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습니다. 몇몇 국가에서는 일자리를 가지고 있지 않지만 적극적으로 일자리를 찾지 않는 실업자로 간주되지 않습니다. 대부분의 경우 여성입니다.

 

원인

교육에서 취업까지: 기술위기

모든 사람에게 확실하게 접근할 필요성을 넘어 교육은 노동시장의 요구에 적절히 적합하지 않습니다. 이는 결과적으로 청년들이 일자리를 찾을 수 없다는 것과 고용주가 필요로 하는 기술을 고용할 수 없다는 두 가지 결과로 이어집니다. 경제위기와 많은 나라의 충분한 고용창출 결여와 맞물려 전 세계적으로 높은 실업률과 기술위기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조사에 따르면 모든 기업의 최대 절반이 적절한 자격을 갖춘 인재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는 오픈 포지션을 가지고 있습니다. 한 세계적인 조사에 따르면 전 세계 고용주의 55% 이상이 교육 시스템에서 배우는 기술과 직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 사이에서 기업이 점점 더 미스매치가 발생하는 것을 목격하고 있기 때문에 '스킬 위기'가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많은 정부에게 중요한 문제는 이 격차를 어떻게 메울 것인가, 청년들이 고용주가 요구하는 기술을 확실하게 익힐 수 있는가 하는 것입니다.

 

노동시장 및 규제

인턴십의 정당성이 의문되기 시작했습니다. 인턴십의 목적은 학생 또는 최근 졸업생이 업무 경험과 추천서를 취득할 수 있도록 하는 것입니다. 그러나 많은 인턴들은 중요한 지식이나 기술을 배우는 것이 아니라 기본적인 그랜트 워크를 하고 있을 뿐이라고 불만을 토로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인턴십 포지션이 현재 인턴십 등의 프로그램을 관리하기 위해 마련된 연방 규칙을 위반하고 있는지는 아직 확인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인턴십은 청년 취업 활동에 있어서 유일하게 실행 가능한 대체 수단인 것 같습니다. 고용의 증가가 거의 없는 가운데, 대학을 갓 나온 젊은이와 15~24세의 젊은이의 실업률은, 2012년 4월 시점에서 약 13.2%입니다.

 

지원과 의존성

세계 여러 나라가 노동시장과 경제 상황이 개선될 때까지 실직한 청년을 지원하기 위해 소득 지원을 하고 있습니다. 이 지원은 적극적인 취업 활동이나 연수라는 점에서는 의무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지만, 젊은이들 사이에 의존을 낳고, 그들에게 악영향을 줄지에 대한 논의가 생겨나고 있습니다. 2014년 9월 데이비드 캐머런은 정부 지원에 대한 의존을 줄이고 학습과 훈련 기회를 늘리기 위해 타깃 프로그램으로 자금을 리다이렉트하기 위해 18세에서 21세 사이의 청년 주택 및 고용 혜택을 3,000파운드에서 23,000파운드로 삭감한다고 발표했습니다.

 

최저임금의 영향

경제조사에 따르면 최저임금은 비숙련 청년 노동의 경쟁적 노동시장에서 청년 실업률을 증가시키고, 그 결과 (일자리를 구하지 못한 청년을 위한) 고용시장 진입이 지연되어 훈련 기회가 감소하고, 그로 인해 평생 소득이 감소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러나 조사에서는 '최저임금을 부과함으로써 근로시간을 줄이지 않으면 일하는 청년의 수입이 증가할 가능성이 있다'는 것과 '일하는 청년의 수입이 일자리를 찾지 못하는 사람의 손실을 상회하면 최저임금이 청년의 총수입을 증가시킬 가능성이 있다'는 것도 나타나고 있습니다. 젊은 비숙련 노동자들을 지원하기 위한 정책 조치로 경제학자 Charlene Marie Kalenkoski는 다음과 같이 제안하고 있습니다. 최저임금 대신 정책 입안자들은 현금이나 현물 원조 같은 젊은 비숙련 노동자를 지원하기 위해 보다 왜곡된 수단을 써야 합니다.

반응형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융 포용에 대해서  (0) 2024.06.13
4차 산업혁명에 대해서  (0) 2024.06.12
미니멀리즘(Minimalism)에 대해서  (0) 2024.06.10
디지털 헬스(Digital health)에 대해서  (10) 2024.06.09
임팩트 투자에 대해서  (0) 2024.06.08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2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