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경제 이야기

재정 정책에 대해서

경제나그네 2024. 10. 11. 08:00
반응형

 

경제학과 정치학에서 재정 정책은 국가 경제에 영향을 주기 위해 정부의 세입 수집(세금 또는 감세)과 지출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1930년대 대공황에 대응하여 개발된 거시경제 변수에 영향을 주기 위해 정부의 세입 지출을 사용하는 것은 경제 관리에 대한 이전의 자유 방임적인 접근이 실행 불가능하게 되었을 때입니다. 재정 정책은 영국 경제학자 존 메이너드 케인스의 이론에 근거하고 있습니다. 케인스의 경제학은 정부의 과세 수준 변화와 정부의 지출이 총수요와 경제활동 수준에 영향을 준다고 이론화했습니다. 재정·금융 정책은 국가의 경제 목표를 추진하기 위해 정부와 중앙은행이 사용하는 중요한 전략입니다. 이러한 정책의 조합을 통해 이러한 당국은 인플레이션을 목표로 하고 고용을 늘릴 수 있습니다. 현대 경제에서 인플레이션율은 보통 2~3% 범위에서 '건전'하다고 간주되고 있습니다. 또 GDP 성장률을 2~3%, 실업률을 자연 실업률 4~5%에 가깝게 만들 수 있도록 설계돼 있습니다. 이는 경기 순환 속에서 경제를 안정시키기 위해 재정 정책이 사용되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과세와 정부 지출의 수준과 구성의 변경은 다음과 같은 거시경제 변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총수요와 경제활동 수준
  • 저축과 투자
  • 소득 분배
  • 자원의 배분

재정 정책은 금융 정책과 구별할 수 있습니다. 재정 정책은 세제와 정부 지출을 다루며 종종 정부 부문에 의해 관리됩니다. 한편, 금융 정책은 통화 공급, 금리, 그리고 종종 국가의 중앙 은행에 의해 관리됩니다. 재정 정책과 금융 정책 모두 국가의 경제 성적에 영향을 미칩니다.

 

통화 정책인가, 재정 정책인가?

1970년대 이후 금융정책의 성과는 중앙은행이 정하는 바와 같이 정치적 영향력을 저하시킨다(총선 전에 경제를 확대하기 위해서는 정치인이 금리를 인하할 가능성이 있다)는 점에서 재정정책에 대해 어떤 이익이 있음이 드러났습니다. 게다가 재정 정책은 잠재적으로 경제에 더 많은 공급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을 줄이기 위해 세금을 늘리고 지출을 줄이는 조치는 바람직하지 않기 때문에 정부는 이것들을 사용하는 것을 꺼릴지도 모릅니다. 금리는 매월 설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금융정책 시행은 일반적으로 더 신속하지만, 정부 지출 증가 결정은 어느 분야에 돈을 써야 할지 판단하는 데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2000년대의 불황은 금융 정책에도 일정한 한계가 있음을 보여줍니다. 은행들이 대출을 원하지 않는데다 경기에 대한 부정적 기대감으로 소비자들이 지출을 늘리려 하지 않아 수요촉진제로 금리 인하가 미흡할 때 유동성 함정이 발생합니다. 정부 지출은 경제 수요를 창출할 책임이 있으며, 경제를 불황에서 탈출시키기 위한 킥 스타트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 심각한 불황이 발생할 경우 경제 균형을 회복하기 위해 금융 정책에만 의존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합니다. 이 두 정책은 각각 차이가 있기 때문에 경제 문제에 대처하기 위해 두 정책의 측면을 결합하는 것은 현재 미국이 사용하고 있는 해결책이 되고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의 효과는 제한되어 있지만, 재정 정책은 장기적으로는 더 큰 효과를 가져오는 반면, 금융 정책은 단기적으로는 성공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2000년 미국경제협회(AEA) 298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한 조사에 따르면 84%가 '재정정책은 완전고용 미만의 경제에 큰 자극적인 영향을 준다'는 성명에 일반적으로 동의하고 있습니다, 71%는 경기순환 관리는 연방준비제도에 맡겨야 하고 적극적인 재정정책은 피해야 합니다. 2011년에, 568명의 AEA 멤버를 대상으로 한 팔로업 조사에서는, 후자의 제안에 관한 이전의 합의는 해소되어, 그때까지 거의 균등하게 논의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습니다.

반응형

'경제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증권화에 대해서  (28) 2024.10.13
화폐 공급에 대해서  (20) 2024.10.12
거시경제학에 대해서  (21) 2024.10.10
신용평가기관에 대해서  (21) 2024.10.09
자본 도피에 대해서  (20) 2024.10.08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4/10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