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같이 살다 보니 생활비가 점점 늘어나는데, 이게 맞는 걸까?"
"결혼은 아직인데 돈은 벌써부터 같이 써도 되는 걸까?"

동거 커플이 겪는 돈에 대한 고민은 단순한 가계부를 넘어서 신뢰와 미래에 대한 이야기이기도 합니다. 결혼 전이라도 함께 사는 동안의 돈 관리 방식은 두 사람의 가치관을 조율하고, 나아가 향후 결혼 생활의 기반이 되죠.

그래서 오늘은, 실질적으로 돈을 아끼고, 감정도 지키며, 관계도 건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동거 커플의 돈 관리 전략을 소개합니다.


1️⃣ 돈 문제, 시작은 대화다

동거를 시작한 순간부터 재정은 공동 책임이라는 인식이 필요합니다. 하지만 이 말은 '모든 돈을 합치라'는 뜻이 아닙니다. 오히려 다음과 같은 질문부터 서로에게 던져보세요.

  • 지금 우리 각자의 월소득은?
  • 고정비는 누가 어떤 비율로 낼까?
  • 개인 소비와 공동 소비는 어떻게 구분할까?

🔑 핵심은 "비율과 기준"을 미리 정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월세는 소득 비율에 따라 나누되, 식비는 반반 부담하는 식의 혼합 전략도 좋습니다.


2️⃣ 공동 지출 통장 하나 만들기

‘합치는 건 불안하고, 나누는 건 복잡하다면?’ → 공동 지출 전용 통장을 만들면 됩니다.

공통 지출 예시:

  • 월세, 관리비, 인터넷/전기 요금
  • 식재료비, 외식비, 배달비
  • 넷플릭스, 왓챠 등 콘텐츠 플랫폼 요금
  • 고양이 사료, 강아지 미용 등 반려동물 비용

각자 월초에 일정 금액을 이 통장에 이체해두고, 카드도 공동 명의 또는 한 사람 명의로 하나 만들어 쓰는 방식입니다.


3️⃣ 커플 가계부 앱 활용하기

공동 소비의 투명한 기록은 갈등을 줄이고 신뢰를 쌓는 데 큰 역할을 합니다.

추천 앱:

  • 브레드가계부: 커플 간 공유 기능 탁월
  • 집밥: 동거 커플 중심의 소비 추적 특화
  • 자비스: 직장인 맞춤형 + 알림 기능 우수

이 앱들을 이용하면, ‘누가 얼마를 어디에 썼는지’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분담 기준도 쉽게 적용할 수 있습니다.


4️⃣ 커플의 '미니 재무설계' 해보기

결혼이 가까워질수록 두 사람의 재정 상황을 통합적으로 보기 시작해야 합니다.

  1. 각자의 예금·적금, 투자 자산 정리
  2. 부채(학자금, 카드대금 등) 파악
  3. 단기 목표 설정: 결혼자금, 여행자금, 보증금 등

여기서 중요한 건, 재무 목표가 반드시 ‘공동’일 필요는 없다는 것입니다. 다만, 서로의 재정 상황을 공유하고 이해하는 것이 앞으로의 경제적 갈등을 줄이는 데 매우 중요합니다.


5️⃣ 조심할 것: ‘내 돈, 네 돈’ 싸움 피하기

갈등의 90%는 불균형불투명함에서 시작됩니다.
“왜 내가 더 많이 내지?” “네가 쓴 건 왜 나도 부담해야 해?” 같은 말은 일상에서 쌓여가다 터지기 쉽습니다.

그래서 공통, 개인, 예비의 3분 구조를 추천합니다.

  • 공통: 생활비, 공동 외식 등
  • 개인: 옷, 취미, 친구모임 비용
  • 예비: 결혼 준비, 혹시 모를 상황 대비

이렇게 분리해두면 각자의 소비 자유를 인정하면서도, 공동 생활의 균형을 유지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사랑과 돈은 같이 관리되어야 한다

동거를 한다는 건 단순한 동반자가 아니라, 인생을 함께 연습하는 관계입니다. 돈 이야기는 꺼내기 어렵지만, 꺼내지 않으면 훨씬 더 큰 문제로 돌아옵니다.

투명하게 말하고, 유연하게 조정하고, 서로를 존중하는 돈 관리
이것이 장기적으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재테크입니다.

728x90
반응형
LIST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