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많은 사람이 부동산을 통해 자산을 불려왔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다릅니다. 금리는 높고, 집값은 여전히 비싸며, 대출 규제까지 겹쳐져 '내 집 마련'은 먼 이야기처럼 느껴지는 시대입니다. 그렇다면 부동산 없이 30대에 자산 2억을 만들 수 있을까요?
정답은 ‘YES’.
가능합니다.
다만, 똑똑한 전략과 꾸준한 실천이 필요할 뿐입니다.
1️⃣ 목표는 자산 2억, 구조는 단순하게
목표가 명확할수록 실행력은 높아집니다.
- 자산 2억 = 저축 + 투자 수익 + 기타 수입의 합
- 기간은 5~7년, 매년 약 2,800만~4,000만 원의 순자산 증가 필요
- 월 평균 230만~330만 원 수준의 자산 증가 → 충분히 현실적인 목표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자산을 '세 바퀴'로 굴려야 합니다.
① 고정 저축, ② 성장형 투자, ③ 부수입입니다.
2️⃣ 월 저축 100만 원, 절대 흔들리지 말자
자산의 기초는 여전히 '저축'입니다.
- 100만 원 저축 × 12개월 × 5년 = 6,000만 원
- 시중은행 예금, CMA, 정기적금 등 단기 안전 자산 비중 확보
- 비상금은 500~1,000만 원 확보 후 나머지는 ETF/예적금 분산
💡 포인트는 매달 고정 저축 금액을 흔들리지 않게 유지하는 것입니다.
3️⃣ 주식, ETF 중심의 성장 자산 설계
단순 저축만으로는 2억은 어렵습니다. 성장 자산이 필수입니다.
- 미국 ETF (SCHD, VOO, QQQ 등) 꾸준히 매수
- 국내 리츠, 배당주 포트폴리오로 월세 없는 현금흐름 확보
- 월 30~50만 원씩 장기 투자 (10년 목표)
📌 Toss·신한알파·삼성증권 등에서 자동매수 설정 활용
👉 타이밍 고민 줄이고, 꾸준함으로 복리 효과 누리기
4️⃣ 월 부수입 30만 원만 있어도 큰 차이
부수입 30만 원 x 12개월 = 360만 원/년 = 5년이면 1,800만 원
아르바이트보다 지속 가능한 수익 루트를 만드세요.
- 블로그 광고 수익 (티스토리, 브런치)
- 스마트스토어, 쿠팡파트너스
- 노션 템플릿·디지털 굿즈 판매
- 전공/경력 살린 강의, PDF 전자책 등
정기적이지 않아도 연간 수익이 100만 원만 넘어도 큰 자산 기여가 됩니다.
5️⃣ 소비관리, 자산 2억까지는 타이트하게
자산 2억까지는 일정 수준의 소비 절제가 필요합니다.
- '가계부는 쓰는 게 아니라 보는 것' → 월 예산 시각화가 핵심
- 불필요한 구독 해지, 무지출 데이 도입
- 1일 1커피 → 주 3회로 줄이기만 해도 월 4~6만 원 절약
🧠 마인드셋: "내가 아끼는 건 자유를 사는 것이다."
🎯 현실 가능한 전략의 결합
항목 | 월 기준 | 연 기준 | 5년 누적 |
저축 | 100만 원 | 1,200만 원 | 6,000만 원 |
투자 | 50만 원 (수익률 연 7%) | 약 700만 원 | 약 4,000만 원 |
부수입 | 30만 원 | 360만 원 | 1,800만 원 |
총합 | - | 2,260만 원/년 | 11,800만 원 + 복리 |
👉 여기에 직장 연금, 상여금, 절세 환급 등을 더하면
자산 2억은 충분히 달성 가능한 수치입니다.
✅ 결론: 부동산 없어도 괜찮다
지금은 꼭 아파트를 가져야만 자산가가 되는 시대는 아닙니다.
대신, 꾸준한 현금 흐름 설계와 목표 기반 자산관리를 통해
‘내 방식대로 2억’을 만드는 것이 충분히 가능한 시대입니다.
부동산 없이도 가능하다.
그 대신, 조금 더 부지런히, 똑똑하게.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월급날, 돈이 사라지기 전에 해야 할 5가지 행동 (6) | 2025.05.04 |
---|---|
🧠 직장인 1인 가구, 혼자서도 탄탄하게 자산 늘리는 법 (5) | 2025.05.03 |
💸 현금자산이 많은 사람은 어떻게 굴려야 할까? (2) | 2025.05.02 |
📈 연금저축 vs IRP, 30대는 어디에 먼저 넣어야 할까? (3) | 2025.05.01 |
💰 내 연봉으로 언제까지 돈 모아야 할까? 현실적 목표 설정법 (6) | 2025.04.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