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노후 준비 재테크의 핵심, 바로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입니다.
두 상품 모두 ‘절세 효과’가 크지만, 구조가 다르고 활용법도 다릅니다.

연금저축만 가입하고 끝? NO!
IRP까지 활용해야 ‘세액공제 풀옵션’ 완성됩니다.


1️⃣ 연금저축 vs IRP 기본 개념 정리

구분 연금저축펀드/보험/신탁 IRP (개인형퇴직연금)
가입 대상 누구나 (소득 없어도 가능) 소득 있는 사람만 가입
세액공제 최대 400만 원 (연 16.5% 공제) 최대 900만 원 (연 16.5% 공제)
운용 방법 예금, 펀드, 보험 다양 예금, 펀드, ETF 등 다양
중도 인출 가능 (해지 시 기타소득세 발생) 원칙적으로 불가
수령 나이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세액공제 한도 총정리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최대 900만 원 한도 세액공제 가능
    → 연금저축 400만 원 + IRP 500만 원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최대 700만 원 한도 세액공제 가능

2️⃣ 어떤 순서로 가입해야 유리할까?

1️⃣ 연금저축 먼저 채우기 → 400만 원
2️⃣ 추가 여력이 있다면 IRP 가입 → 최대 500만 원

✅ 이유: 연금저축은 중도해지 시에도 기타소득세(16.5%) 납부로 끝,
IRP는 **중도해지 시 퇴직소득세 적용(최대 16.5%)**이라 상대적으로 불리함.


3️⃣ 상품 추천 및 활용법

📌 연금저축펀드 →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 크기

  • 해외ETF, 인덱스펀드 추천 (SCHD, S&P500 등)

📌 IRP → 안정적 자산 운용에 적합

  • 예적금 + ETF 혼합 운용 추천
  • 세액공제 + 장기 복리 효과 노리기

Tip: 5년 이상 장기 투자 시 **연금소득세(3.3~5.5%)**로 절세 효과 극대화


4️⃣ IRP 수수료, 이렇게 절약하세요

  • 수수료 없는 증권사 선택: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온라인 전용 상품
  • 중복계좌 체크: 불필요하게 여러 개 개설하지 않기 → 이체 및 통합 가능

✍️ 마무리 요약

연금저축 vs IRP, 둘 다 활용해야 진짜 절세 재테크 완성됩니다.
연금저축 400만 원 → IRP 500만 원 순으로 채우고,
장기 투자로 복리 수익과 세금 혜택을 모두 잡으세요.

노후를 위한 투자는 빠를수록 유리합니다. 오늘 바로 시작하세요!

728x90
반응형
LIST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7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
25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