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728x90
반응형
노후 준비 재테크의 핵심, 바로 연금저축과 **IRP(개인형 퇴직연금)**입니다.
두 상품 모두 ‘절세 효과’가 크지만, 구조가 다르고 활용법도 다릅니다.
연금저축만 가입하고 끝? NO!
IRP까지 활용해야 ‘세액공제 풀옵션’ 완성됩니다.
1️⃣ 연금저축 vs IRP 기본 개념 정리
구분 | 연금저축펀드/보험/신탁 | IRP (개인형퇴직연금) |
가입 대상 | 누구나 (소득 없어도 가능) | 소득 있는 사람만 가입 |
세액공제 | 최대 400만 원 (연 16.5% 공제) | 최대 900만 원 (연 16.5% 공제) |
운용 방법 | 예금, 펀드, 보험 다양 | 예금, 펀드, ETF 등 다양 |
중도 인출 | 가능 (해지 시 기타소득세 발생) | 원칙적으로 불가 |
수령 나이 |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 만 55세 이후 연금 수령 가능 |
✅ 세액공제 한도 총정리
- 총 급여 5,500만 원 이하: 최대 900만 원 한도 세액공제 가능
→ 연금저축 400만 원 + IRP 500만 원 - 총 급여 5,500만 원 초과: 최대 700만 원 한도 세액공제 가능
2️⃣ 어떤 순서로 가입해야 유리할까?
1️⃣ 연금저축 먼저 채우기 → 400만 원
2️⃣ 추가 여력이 있다면 IRP 가입 → 최대 500만 원
✅ 이유: 연금저축은 중도해지 시에도 기타소득세(16.5%) 납부로 끝,
IRP는 **중도해지 시 퇴직소득세 적용(최대 16.5%)**이라 상대적으로 불리함.
3️⃣ 상품 추천 및 활용법
📌 연금저축펀드 → 장기 투자 시 ‘복리 효과’ 크기
- 해외ETF, 인덱스펀드 추천 (SCHD, S&P500 등)
📌 IRP → 안정적 자산 운용에 적합
- 예적금 + ETF 혼합 운용 추천
- 세액공제 + 장기 복리 효과 노리기
✅ Tip: 5년 이상 장기 투자 시 **연금소득세(3.3~5.5%)**로 절세 효과 극대화
4️⃣ IRP 수수료, 이렇게 절약하세요
- 수수료 없는 증권사 선택: 키움증권, 미래에셋증권 등 온라인 전용 상품
- 중복계좌 체크: 불필요하게 여러 개 개설하지 않기 → 이체 및 통합 가능
✍️ 마무리 요약
연금저축 vs IRP, 둘 다 활용해야 진짜 절세 재테크 완성됩니다.
연금저축 400만 원 → IRP 500만 원 순으로 채우고,
장기 투자로 복리 수익과 세금 혜택을 모두 잡으세요.
노후를 위한 투자는 빠를수록 유리합니다. 오늘 바로 시작하세요!
728x90
반응형
LIST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배달 줄이고 부자 되기? 직접 요리로 연 100만 원 절약하는 법 (1) | 2025.06.13 |
---|---|
🏠 월세 사는데 재테크? 보증금으로 연 5% 수익 내는 방법 (4) | 2025.06.12 |
💸 몰라서 못 받는 돈? 숨은 정부지원금으로 연 100만 원 절약하기 (3) | 2025.06.10 |
🌍 해외 주식은 부자들만? 이젠 소수점 투자로 누구나 가능! (1) | 2025.06.09 |
💳 “체크카드는 혜택이 없다?” 오히려 재테크의 숨은 고수 수단입니다 (1) | 2025.06.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