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 월세 사는데 재테크? 보증금으로 연 5% 수익 내는 방법

경제나그네 2025. 6. 12. 08:00
728x90
반응형

‘내 집 마련’ 전까지 월세로 사는 분들 많죠. 하지만 그냥 월세만 내면 돈이 새어나갈 뿐입니다.
전·월세 보증금도 ‘가만히 있는 돈’이 아니라, 제대로 굴리면 연 4~5% 수익 만들 수 있는 재테크 씨앗입니다.

월세 살면서 자산 불리는 실전 전략, 바로 시작합니다.


1️⃣ 전세 → 월세로 전환하고 보증금 굴리기

전세 보증금이 클수록 사실상 ‘묶인 돈’이 됩니다.
월세 전환 후, 남는 보증금으로 투자하면 현금 흐름이 살아납니다.

📌 예시 시뮬레이션

  • 전세 1억 원 → 월세 500만 원 보증금 + 월세 40만 원 전환 시
  • 남는 9,500만 원 → 연 5% 수익률 투자 시 연 475만 원 수익

→ 월세 40만 원(연 480만 원) 거의 상쇄 가능!

적합한 투자처:

  • MMF, RP, 단기 채권형 펀드 (연 3~4%)
  • 고정 배당 ETF or 배당주 펀드 (연 5% 이상 목표)

2️⃣ 월세 보증금 활용 ‘예금 담보대출’ 전략

보증금이 어느 정도 있다면 활용 가능한 방법.

  • 보증금 1,000만 원 → 담보대출 700~800만 원 대출 가능
  • 예대 마진 활용으로 추가 수익 발생 가능

✅ 주의사항:

  • 무리하게 대출 받지 않기 (월세+이자 부담 총합 고려)
  • 투자처는 안정적 상품 위주로 선택

3️⃣ 월세 보증금 안전하게 불리는 법

보증금으로 투자하면서 가장 신경 써야 할 건 안전성입니다.

📌 추천 상품군:

  • 국채 ETF (KODEX 국채선물10년 등)
  • 채권형 펀드
  • MMF or CMA (단기 비상금 역할)

TIP: 보증금 일부는 항상 예금자 보호 가능한 상품에 넣어두기 → 급작스러운 이사/해약 시 대비


4️⃣ 보증금 자체를 ‘투자 상품’으로 넣는 법

최근 증권사 CMA 통장에 월세 보증금 넣기도 인기.

  • CMA 이율 2% 내외
  • 증권사 연계 신용카드 사용 시 추가 혜택 (예: 주유/통신 할인)

이사 예정 없는 경우: 1년 이상 단기채 ETF 투자 병행 추천


✍️ 마무리 요약

월세 살면서도 부자 되는 방법? ‘보증금 굴리기’가 핵심입니다.
전세 보증금 묶어두지 말고, 월세 전환 + 투자 병행으로 현금 흐름 최적화 하세요.
소극적 소비 대신 능동적 투자로 월세 세입자도 자산을 불릴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